밀양 송전탑 사건은 경남 밀양시에 건설될 예정인 76만5000V의 고압송전선 및 송전탑의 위치 문제를 두고, 2008년쯤부터 밀양 시민과 한국전력 사이에 일어났던 일련의 분쟁을 일컫는다. 당시 공사구간은 신고리~북경남 송전선까지 총연장 90.5Km로, 이 송전선은 울산 신고리원자력발전소 3호기에서 생산한 전력을 창녕군의 북경남 변전소로 수송하기로 돼 있었다. 건설반대 주민들과 환경운동가들은 송전탑이 불필요하다는 근거로 다른 송전탑을 이용해 송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안전성이 미확인 된 부품을 사용한 신고리 원자력발전소를 조기가동하면 안 되므로 밀양 송전탑을 조속히 건설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까지 했다.

 

송전선로 경유지와 변전소 부지는 2001년에 선정됐다. 이후 환경영향평가를 거쳐 2007년말 신고리 원전과 송전선로 건설사업이 정부승인을 받았는데 이듬해 7월 밀양주민들은 백지화를 요구하며 첫 궐기대회를 열었다. 2011년에는 밀양주민들과 한전 사이에 18차례의 협의가 있었지만 2012년 1월 당시 74세이던 이치우씨가 분신자살하며 극한 대립으로 치달았다. 이해 3월 공사가 중지됐다가 6월 재개됐지만 9월 이후 국회현안 보고 이후 공사가 중지됐다. 1년만인 2013년 9월 당시 정홍원 국무총리가 밀양을 방문해 공사 강행을 시사하고, 가구당 400만원 개별보상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주민 보상안을 확정했다.

하지만 2013년 12월 6일 주민 유한숙(71)씨가 농약을 마시고 자살했고, 1주일 뒤 권모씨가 자살을 기도하면서 다시 갈등원점으로 돌아갔다. 결국 2014년 6월 송전선로 건설 반대 농성장을 철거하는 행정대집행을 하기 위해, 경찰 2000여명과 한전 직원 250명이 투입되면서 20여명이 실신하거나 부상당했다. 설비용량 1400MW에 가압경수로형인 신고리 원전 3호기는 2016년 12월 20일 상업운전 개시했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한려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